의료2017. 3. 9. 13:59





우리가 건강검진을 하는 이유는 병을 조기에 찾아내어 치료하기 위해서이다.  특히 초기 발견이 중요한 병은 '암'이다. 빠르게 찾아내서 조그마할 때 치료할 수록 완치율도 올라가고, 환자가 오래 살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연령대별로 암이나 다른 질환이 생길 가능성ㅁ들이 다르다.(대체로 나이 올라갈수록 높아진다)  


연령대별 필수&추천 건강검진 항목들을 살펴보자.



30대


여성


30세 이상~65세 미만 여성에서 3년마다 자궁경부 펴바름 검사를 해야 한다. 자궁 경부암을 조기에 찾아낼 수 있다.


갑상선 초음파 검사는 갑상선암을 조기 발견 하기 위해 시행하는데, 20대 이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지만, 조기 발견 -> 조기치료로 이어지나 갑상선암의 과잉 진단이 문제가 되고 있기 때문에...(널리 받아들여지는 권고기준도 없다) 선택적으로 갑상선 초음파 검사를 해볼 수 있다. 3-5년 간격.


40대


남성


위내시경: 남자는 40대 부터 위내시경 검사를 해야 한다. 위암 발병률이 높아지는 연령대이기 때문이다. 2년마다 위내시경을 하거나, 위장조영술을 받아야 한다. 간격은 보통 2년이 맞지만, 어떤 소견이 나오냐에 따라 간격은 짧아질 수 있다.


여성


유방촬영술: 유방암 발병률이 높아지는 시기이므로 40-59세는 2년마다 유방 촬영술을 받아야 한다. 60세 부터는 3년마다 유방촬영술이 권고된다.  간혹, 우리나라의 경우 '치밀 유방'이라고 해서 유방 촬영술로는 잘 보이지 않는 형태를 가진 분들이 많은데 이럴 때는 유방 초음파로 3년마다 정기적으로 받는게 좋다.


갑상선 초음파: 3-5년간격


자궁경부 펴바름 검사: 3년마다


50대


성별에 관계 없이


저선량 폐 CT: 널리 받아들여지는 권고기준이 없긴 하지만, 이는 CT 검사 비용을 고려해서 국가에서 권장되지 않는 느낌이 강하다. 개개인으로 봤을 때는 추가검사이긴 하지만 폐암 조기 진단을 위해 저선량 폐CT를 받는게 좋다. 매 1-2년 마다.


남성


위내시경

대장 내시경50세 이상에서 10년마다 대장내시경 또는 5년 마다 에스결장경 & 2-3년마다 분변잠혈검사


오줌이 잘 나오지 않거나, 오줌 보고 시원한 느낌이 들지 않는다면? 비뇨기과 진료 및 'PSA'& 경직장 초음파가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건강검진으로 PSA 만 하는 건 비추천이다. 증상 있는 군에서 보다 의미있는 수치이다.


여성


위내시경: 2년 마다


대장 내시경50세 이상에서 10년마다 대장내시경 또는 5년 마다 에스결장경 & 2-3년마다 분변잠혈검사


갑상선 초음파: 3-5년간격


자궁경부 펴바름 검사: 3년마다


유방촬영술 2년 마다 or 유방초음파 3년 마다


60대


성별에 관계없이 저선량 폐 CT: 1-2년마다


남성


특별히 추가할 만한 검사는 없다. 


위내시경

대장 내시경50세 이상에서 10년마다 대장내시경 또는 5년 마다 에스결장경 & 2-3년마다 분변잠혈검사


여성


65세 이상에서 골다공증 검사(이전에 한번도 하지 않았던 경우)


유방촬영술 3년 마다 or 유방 초음파 3년 마다


위내시경: 2년 마다

대장 내시경50세 이상에서 10년마다 대장내시경 또는 5년 마다 에스결장경 & 2-3년마다 분변잠혈검사


갑상선 초음파: 3-5년간격


자궁경부 펴바름 검사: 3년마다, 65세 전까지만.


70대 


성별에 관계없이 저선량 폐 CT: 1-2년마다


남성 


70세 이상에서 골다공증 검사(이전에 한번도 하지 않았던 경우)


위내시경

대장 내시경50세 이상에서 10년마다 대장내시경 또는 5년 마다 에스결장경 & 2-3년마다 분변잠혈검사


여성

특별히 추가할 검사는 없다.

골다공증 검사(이전에 한번도 하지 않았던 경우)


유방촬영술 3년 마다 or 유방 초음파 3년 마다


위내시경: 2년 마다

대장 내시경50세 이상에서 10년마다 대장내시경 또는 5년 마다 에스결장경 & 2-3년마다 분변잠혈검사


갑상선 초음파: 3-5년간격


그 외 경우


당뇨환자


보통 제2형 당뇨병 환자이다.


당뇨환자의 검진 목적은, 조기에 합병증을 찾아내어 치료하기 위해서이다.


신장 합병증, 눈 합병증, 신경관련 합병증 세가지를 검진하게 된다~!


1. Type2 진단 후, Type1 진단 5년 후부터 매년 미세알부민뇨 + 신장기능검사


2. 매년 안과 진료 - 계속 정상이라면 2-3년 마다 받아도 좋다


3. Type2 진단 후, Type1 진단 5년 후부터 매년 Perception, vibration test(10g monofilament) (감각검사)


그 외 선택 검사로 말초혈관 합병증 조기 진단을 위해 'ABI' 라는 검사를 해볼 수 있다


심장 건강이 걱정되는 분들은 '심장 MDCT'라는 검사를 해볼 수 있다. 혈관이 얼마나 좁아져 있는지를 볼 수 있는데- 사실 뚜렷한 권고기준은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협심증이 있거나, 가족 중에 심근경색 관련 질환이 있거나, 당뇨, 고혈압, 흡연, 고지혈증 등 심장 쪽 위험인자가 많은 분들이 해보면 좋다.


복부 초음파 검사


특별히 문제가 없는 한 복부초음파를 건강검진에서 권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간경변증이 있거나 , B형간염 보균자 혹은 C형간염 보균자 & 남 40세 또는 여 50세이면  6-12개월 마다 AFP라는 피검사와 함께 초음파 검사를 받아야 한다.


뇌 혈관조영 CT


뇌졸증 가능성을 보기 위한 검사. 뚜렷한 권고기준은 없는 실정이다.  임상적으로는 혈관에 문제가 없다면 5년에 한번 정도 해보면 된다. 혈관 좁아진 부위가 있다면 신경과 의사와 상담 필수!


(ref: http://mehtahospital.com/pediatrics/index.php/gallery-item/master-health-check-up/)

Posted by JsPark21
의료2016. 1. 20. 13:13

 

 

 

 "소화가 잘 안되요"

 

  박모씨는 20대 후반의 직장인이다.  크게 직장 스트레스도 없으나, 최근 부인이 첫째아이를 출산한 이후 아기를 돌보느라 수면의 질이 낮아졌다고 한다. 이전에도 간혹 속쓰림 및 과식 시 포만감은 있었으나, 최근 와서 빈도가 일주일에 두세번 정도로 잦아졌다고 한다. 증상 있을 때마다 약국에서 약타서만 조절했다고 하며, 병원을 평소에 잘 가지 않는 편이란다...힘들걸음을 하셨으므로 그만큼 증상이 심해진 상황이일 것이다. 속쓰림이 있다...우선 기질적인 문제가 있는지, 아니면 기능성 문제인지를 감별해야 한다.

 

"이전에 내시경 받은 적 있으세요?"

 

"아니요...한번도 없습니다ㅜㅜ"

 

 

나이를 고려한다면 내시경을 한번도 안받아봤다는게 수긍이 간다. 소화성 궤양, 식도염 등 기질적인 원인이 있는지 아닌지를 알면 좋았겠으나...아마 나이도 젊고, 다른 증상도 없으므로 눈에 보이는 특별한 병변이 없는 '기능성'일 가능성이 높다.

 

"식전에 속이 아프세요". "입이 잘 마르시는 편이신가요?", "신물이 간혹 입으로 올라오나요?"

 

위식도역류염 인가? 라고 생각하며 물었다...아니라고 했다. 위와 같은 증상을 호소하는 기능성 질환은 위치에 따라, 가슴쪽이라면 위식도 역류염, 명치 및 바로 아래 윗배라면 기능성 소화불량증, 그 아래라면 과민성 장 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설사도 없다...식전 보다는 식후에 더 증상이 생기는 편이며...식후 포만감과 속쓰림이 있다면, 기능성 소화불량증일 가능성이 높다.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증상에 따라 크게 식후 스트레스 증후군, 상복부 통증 증후군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환자의 경우 식후 포만감과 함께 속쓰림이 동반되므로, 두가지 증후군이 혼재 되어있는 양상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위식도 역류염 역시 같이 있을 가능성 역시 존재한다.  위산을 억제하는 약과 위장운동 촉진제를 처방 하고, 증상이 없을 경우 3개월 정도 지켜보기로 이야기 하였다. 위장운동 촉진제를 쓰는 이유는, 이 질환을 위의 운동성이 떨어져서 생기는 질환으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식후 스트레스 증후군이 있을 경우 처방한다.

 

"선생님, 혹시 기능성 소화불량증에 좋은 음식은 없을까요?"

 

"특별히 좋은 음식은 딱히 없습니다. 종류보다는 양이 더 중요합니다. 과식하지 말고 조금씩 드세요"

 

안타깝게도 이 질환의 치료 만족도는 낮은 편이다. 완치되는 경우가 50% 밖에 되지 않고, 15-20%의 경우 지속되는 증상 호소하며, 30-35% 는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거나 다른 병으로 진단된다. 그래서 의학적인 접근보다는 다른 쪽으로 본인의 증상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시는 분들이 많다. 하지만 특별히 좋다는 음식은 딱히 없다고 보면 된다. 조금 연구된 것들이 있긴 하지만 근거가 충분치 않다.

 

Posted by JsPark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