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2013. 11. 5. 12:49






깊은 정보는 아니고...중국 투자관련 서적의 헬스케어 챕터에 나와있는 주요 정보를 요약해보고자 합니다.


중국 역시 이미 선진국병들을 앓고 있고 크게 증가추세에 있습니다.  하지만 빠르게 늘어나는 수요에 비해 병원 및 의료인력 인프라가 부족하다고 합니다.


고혈압 1억 6000만명, 당뇨병 9200만명, 고지방환자 1억 6000만명입니다...엄청난 숫자죠. 13.5억인 중국인구를 분모에 둬 보면 각각 11%, 6.8%, 11%네요.  참고로 한국의 유병률은 29%, 10% ,14% 입니다.  중국은 한국 따라올려면 아직 멀었네요^^


사망원인 통계를 살펴보면 사망원인 1위가 암, 2위가 뇌혈관, 3위는 심장질환, 4위가 호흡기 질환 입니다.


병은 많아지는데, 이에 따라 치료도 증가하고 있을까요? 네 증가하고 있습니다.  중국도 도시 주민 의료보험 및 도시 직장인 의료보험을 만들어서 사람들을 가입시키고 있는데요.  2011년까지 가입률이 90%가 넘었다고 합니다. 


결론적으로 의료수요는 급증하는 추세에 있고, 그 형태는 선진국 따라가고 있군요.


이번엔 공급을 볼까요?


의료기관 수는 26만 5000개(2012) 정도인데. 놀라지 마세요...한국의료기관수가 무려 8만개를 넘습니다.  한국은 1만명당 약 16개의 의료기관을 보유하고 있는 반면 중국은 1만명당 2개밖에 되지 않습니다.  매우매우 모자라다는 얘기입니다^^ 중국 개인의원이 18만개 정도, 30병상 이상 병원은 2만개 정도라고 하네요.  따라서 대규모 병원 시설 건설 및 의료기기의 수요의 폭팔이 기대되는 부분이죠.  병원 공급은 매우 적은 수준인데 수요는 이미 폭팔적으로 증가했으니 말이죠.




의약품 시장을 보면, 연평균 13프로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의약품 시장은 자국내 제약사가 대다수 파이를 가져가고 있네요.  하얼빈제약이 독보적이며, 베이징쌍학약업이 2위군요.  반면 해외제약회사는 도토리 키재기입니다.  화이자가 2.2%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고 해외제약 10위까지 1프로대로 고만고만합니다. 한국에서는 한미약품, 신풍제약, 보령제약이 도전장을 내밀었네요.

의료기기 시장은 성장률이 어마어마합니다.  연간 30%...미래에도 20 ~ 25% 연평균 성장이 기대대고 있습니다.  베이징 의료설비가 독보적 1위군요.  

이렇게 보니 왜 중국 최대 부동산 투자그룹이 녹지그룹이 제주도에 헬스케어타운 1조 투자를 계획했는지 그림이 보이는 군요...자국 수요가 이렇게 폭팔하는데, 국내 병원 및 의료 인프라는 따라주지 않으니 의료관광을 할 수 밖에요.  중국 기업들이 직원들에게 단체 건강검진 겸 2-3일 해외여행하고 바람쐬고 오라고 제주도행 티켓을 주는 그림이 그려지네요.  한국이 노릴 수 있는 건 제약, 의료기기, 병원서비스 세가지가 되겠군요^^ 제주도는 관광이라는 경쟁우위가 있다는 측면에서 병워서비스 시장에서 긍정적인 거고요. 성형외과들이 중국인 러쉬를 누리는 것도 이해가 갑니다.  하지만 정말 큰 시장은 중국내에 있군요...중국 병원 건설 시장에 진출하고 의료기기 시장을 선점한다면...^^ 멋질 것 같습니다.


Posted by JsPark21
경영2013. 10. 17. 23:01

오늘은 LG경제연구원에서 나온 헬스케어 산업 리포트를 소개할게요^^ pdf 파일 첨부합니다.



"크라우드소싱으로 헬스케어 산업이 깨어나고 있다"



크라우드소싱?


 ‘대중’(crowd)과 ‘외부자원활용’(outsourcing)의 합성어로,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스 개발과정에서 외부 전문가나 일반 대중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참여자 기여로 혁신을 달성하면 수익을 참여자와 공유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from 네이버 지식백과


감이 오시죠...헬스케어 산업에 크라우드 소싱을 적용해서 해결하기 힘든 문제를 풀어보자는 겁니다.  일례로 GSK 같은 곳에서는 연구결과들을 만천하에 공개해버렸죠. 그 정보들을 가지고 도저히 혼자서 못 헤쳐나가겠으니 여러분 도와주세요~! 하는 겁니다.  



헬스케어산업.pdf


Posted by JsPark21
경영2013. 6. 19. 10:53

Love and Fear and the Modern Boss


Five hundred years ago, Niccolò Machiavelli posed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better for a leader to be loved or feared, concluding that if you can’t be both (and few people can), being feared is more effective. While the complexities of human nature resist definition in such stark terms—behaviors lie along a continuum—the question of fear versus love has been a fundamental one for leaders throughout history.

Until a generation or so ago, fear was the predominant model. In the 1950s and 1960s, corporal punishment was common even in public schools, and the workplace was a largely hierarchical and autocratic arena where leaders imposed rewards and punishments based on conformity with the rules. Today, teachers in most of the developed world would instantly lose their jobs for hitting a student, and in the office, too, acceptable models of leadership have shown their softer side. This shift in the predominant leadership model reflects the move from an industrial to an information economy. In factories, you need strict rules and you reward people based on very simple and clear productivity metrics. Knowledge workers don’t respond well to such rigidity, and fearful service employees would have trouble putting on a good face for customers. In fields like advertising, tight controls stifle creativity and commitment.

But even in the developed world, plenty of leaders still rely on fear, and many people continue to put up with it. One reason is simply that people rationalize the fear model as “just the way things are done around here,” as is the case with hazing, arguably a form of leadership among students. Another reason is that some people feel a sense of pride and accomplishment in toughing it out; they find satisfaction in meeting the standards of a very demanding boss. Others simply prefer an autocratic style over an empowering one; they don’t want to decide how to do their work but would rather just know the rules and follow them. Still others actually believe that they will ultimately be more successful with a strong boss, one who will push them beyond the limits to which they’d stretch themselves.

It’s just as well that we have people who can work under these bosses because some circumstances still call for a fear-based style of leadership—where you want to discourage risky behavior, such as in a nuclear power plant. With the stakes so high on safety, tight control—not improvising—is prudent. Employees tend to self-select into these companies. Leaders need to do the same—find roles that match their temperaments.

Indeed, if a leader is stern and autocratic—even rude and insulting—he can inspire great respect if he is also authentic, and if he genuinely cares about the people working for him. Two of the most successful coaches in the history of college basketball exemplify Machiavelli’s two extremes—the feared Bobby Knight at Texas Tech and Mike Krzyzewski, Duke’s beloved Coach K—and both have won devoted followings among players. Coach K, whose leadership style relies on open communication and caring support, wrote a book called Leading with the Heart. Knight, on the other hand, has had a career marked by controversies about his harshness, including allegations that he choked a player during practice. Despite his bullying, he inspires tremendous loyalty and even love. Texas Tech players know what they’re getting into, and they know that Knight’s temper is integral to his being—and that he truly cares about them.

That’s why, five centuries after it was written, we can still take lessons from The Prince. Leading by force and intimidation has its downsides—the potential for the leader’s derailment chief among them. Thanks to his violent behavior and inability or unwillingness to adapt his dominant style to changing societal norms, Knight was eventually fired from his job at Indiana University (though quickly snapped up by Texas Tech). But there are times when the softer approach to leadership is equally ineffective—or simply inauthentic—and rule by fear is the way to go. Successful leaders read the signals and adapt their styles accordingly, but they know their limits. A stretch assignment for a leader might be a developmental opportunity that brings out previously unrecognized strengths—but if the role requires a style beyond the leader’s adaptability, the result is often disastrous.

--------------

결론을 말하자면 사랑은 창조성이 요구되는 환경에, 공포는 임시변통이 허용되면 안되는 rule을 따라야 하는 환경에 적합한 리더십이라고 하네요. 


예> 광고회사 <-> 핵발전소


ref: http://hbr.org/2008/01/love-and-fear-and-the-modern-boss/ar/1

Posted by JsPark21
경영2013. 6. 19. 08:58





 '스마트 프라이싱' 이라는 책을 보면, 서비스를 제공할 때의 가격정책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있다.  전통적인 가격결정 방법은 이 비용에 얼마를 추가할 것인지를 정해서 가격을 책정하거나- 주변의 눈치를 보아 비슷하게 책정하는 방법을 써왔다.  하지만 저자는 무료로 제공하기, 소비자군에 따라 다른 가격 적용하기 등의 다채로운 가격 결정방법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중 의료서비스에서도 적용할 만한 아이디어가 하나 있었다. 치료효과가 있는 경우에만 환자가 의료기관에 돈을 지불하는 방법이다.  


제공한 의료서비스가 아니라 결과의 유무로 환자가 의사에게 돈을 지불하는 이 방법은 상당히 멋진 아이디어로 보인다. 때때로 환자도, 의사도 나아가 국가도 윈윈(win-win)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한 가지 사례를 들어보자.


'벨케이드'(Velcade)라는 매우 비싼 항암제가 있다. 새로나온 항암제는 치료효과가 불확실해서,  이것저것 다 해본 암환자에게 시도하게 된다. 말기 암환자에게는 일종의 도박과 비슷하다.  나을 가능성이 비록 적지만 있다. 하지만 실패확률도 높고 부작용도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  그리고 매우 비싸다는 점...이 때문에 벨케이드는 환자들의 거부율이 높았다. '그럴 바에야 차라리...'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벨케이드를 만든 제약회사 얀센은 그래서 항암효과가 있는 경우에만 환자에게 치료비를 받는 새로운 가격 책정법을 시도하게 된다.  이 후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환자들이 벨케이드 투약을 허락하는 경우가 높아졌고, 제약회사는 이윤을 창출할 수 있었다.


위 사례를 자세히 살펴보면- 효과가 있는 경우에만 지불하는 방법이 어떤 때 유용한지를 알 수 있다.  벨케이드의 경우 약 한 단위를 생산하는데 드는 비용이 높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약의 가격이 약 3000달러로 매우 비쌌던 이유는 개발하는데 드는 비용이 매우 높았기 때문이다.  신약의 경우 10년 정도의 개발기간이 들고 여러 임상시험들을 거쳐야 한다.  이 말을 곱씹어보면, 생각보다 항암제 이용이 높지 않은 경우에 약을 좀 더 싸게 팔더라도 시장의 크기를 늘리는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벨케이드에 효과가 있는 경우는 약 25%라고 하자. 만약 기존 가격에 기대했던 이용환자 수보다 가격을 낮춰서 환자 수가 4배 이상 증가하게 되면 제약회사는 원래 생각했던 것보다 많은 이득을 거둘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전략은 결과가 입증가능해야 한다.  벨케이드의 경우 혈액암의 치료에 쓰이므로 정상 적혈구 수의 측정 등으로 치료효과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전략이 만에 하나 실패하더라도 판매자에게 지나치게 큰 위험이 되지 말아야 한다. 또한 소비자, 생산자 모두에게 이익이어야 한다. 이런 조건들을 충족할 경우에 '효과있을 때만 돈을 지불하는 방법'이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Posted by JsPark21